클라우드 스토리지 고민 끝! AWS S3·EBS·EFS 활용법
클라우드 시대에 꼭 알아야 할 스토리지 선택법
클라우드 컴퓨팅이 일상이 되어버린 요즘, 많은 분들이 AWS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서비스의 성패를 좌우하는 ‘스토리지’ 선택에 대해 고민해 보셨나요? AWS에는 S3, EBS, EFS라는 세 가지 대표적인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서비스 성능을 보장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실무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각 서비스의 핵심을 깊이 있게 풀어보겠습니다.
S3란 무엇이며 언제 사용하는가?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는 말 그대로 ‘단순한’ 저장소입니다. 그러나 그 단순함이 강력함으로 이어집니다. 데이터 객체(오브젝트)를 손쉽게 저장하고,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죠. 마치 디지털 세계의 무한 창고처럼, 사진, 영상, 백업 파일 등 크기에 상관없이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일 하나가 수 테라바이트일지라도 걱정이 없습니다. 아름다운 점은 저장 위치(버킷)만 정하면 별도의 서버 구축이나 관리가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S3는 또 내구성과 가용성이 탁월합니다. 데이터를 여러 지역에 복제해 놓으니, 지진이나 화재 같은 예기치 못한 재해가 발생해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지켜집니다. 흔히 웹사이트의 이미지, 동영상 저장소, 백업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데, 트래픽이 많고 대용량 파일을 저장해야 할 때 S3만큼 든든한 친구가 없습니다.
단, S3는 파일 단위의 접근이 기본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처럼 실시간 Read/Write가 빈번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로 꺼내 쓰는 서랍’이 아니라 ‘필요할 때 꺼내는 창고’ 같은 이미지로 이해하면 쉽겠습니다.
EBS: 블록 스토리지의 장인
Amazon EBS(Elastic Block Store)는 이름 그대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이것은 하드디스크나 SSD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EC2 인스턴스에서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처럼 빠른 읽기/쓰기가 필요한 업무에 적합합니다. 사용자의 노트북에 달린 SSD처럼, EC2 서버에 가상의 디스크를 붙여주는 구조입니다.
가장 돋보이는 장점은 ‘일관적인 성능’입니다.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등 순간의 성능 저하도 허용할 수 없는 업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속도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스냅샷(백업) 기능을 통해 원하는 시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EBS는 EC2 인스턴스(가상 서버)에 연결해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제한이 있습니다. 또, 같은 가용 영역(AZ) 내에서만 붙여 쓸 수 있어서 여러 곳에서 동시에 접근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EFS: 손쉽게 공유하는 파일 시스템
Amazon EFS(Elastic File System)는 여러 대의 EC2 인스턴스가 동시에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입니다. 사무실 공유 파일서버를 클라우드에 옮겨놓은 느낌이지요. 특히 여러 서버가 같은 데이터를 볼 필요가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빅데이터 분석, 미디어 처리 등에 이상적입니다.
EFS의 가장 큰 매력은 ‘확장성’과 ‘공유성’입니다. 용량을 미리 정해두지 않아도 자동으로 늘어나고 줄어듭니다. 파일 서버처럼 허브 역할을 하면서도, 네트워크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수백~수천 대의 서버가 동시에 붙어도 끄떡없습니다. 물론 POSIX 호환성을 지원해, 일반 리눅스 파일 시스템과 유사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강점입니다.
다만, 모든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경유하다 보니 로컬 디스크보다는 느릴 수 있습니다. 실시간성이 중요하고 극강의 속도가 필요한 거래 시스템보다는, 다양한 서버와 사용자 간의 협업이 중요한 업무에 더 잘 어울립니다.
상황별 스토리지 선택법
그렇다면 실제로 어떤 상황에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까요?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 저장, 글로벌 배포, 백업: S3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디스크, 빠른 IO 성능 필요: EBS
여러 서버 간 동시 파일 접근, 파일 서버, 개발/운영 공동작업: EFS
서비스의 구조와 요구사항에 따라 복합적으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의 이미지는 S3에, 서버의 데이터는 EBS에, 여러 서버가 참고하는 설정 파일은 EFS에 저장하는 식입니다.
마무리: 현명한 스토리지 선택이 최고의 전략
AWS 스토리지 선택은 단순히 ‘저장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효율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전략적 결정입니다. 각각의 서비스가 가진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 서비스에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신다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최고의 성능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최적의 선택, 바로 여러분의 현명한 판단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