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스토리지 3종 비교: S3, EBS, EFS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

1. AWS 스토리지 서비스의 세 가지 축: S3, EBS, EFS를 이해해야 출발이 빠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느냐는 단순히 ‘용량’의 문제가 아닙니다. 성능, 접근 방식, 비용, 그리고 사용 목적까지 꼼꼼히 고려해야만 진짜 스마트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AWS는 여러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중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는 바로 S3(Simple Storage Service), EBS(Elastic Block Store), EFS(Elastic File System)입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는 이 세 가지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목적과 구조, 요금 체계가 완전히 다릅니다. 마치 같은 건축 자재라도 어떤 용도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콘크리트, 철골, 목재를 고르는 방식이 다른 것처럼, AWS의 스토리지도 용도에 따라 확실하게 구분하셔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스토리지를 하나씩 풀어보며,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10가지 키워드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2. 객체 기반 vs 블록 기반 vs 파일 기반: 구조부터 다릅니다

먼저 각 서비스의 저장 방식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S3는 객체(Object) 기반 스토리지입니다. 즉, 파일 하나하나가 고유한 메타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있어 웹 기반의 정적 파일 저장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EBS는 블록(Block) 스토리지입니다. 이는 하드디스크처럼 OS가 직접 접근 가능한 저장 장치로, 주로 EC2 인스턴스의 루트 디스크나 데이터 디스크로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EFS는 파일(File) 기반 스토리지로, 여러 EC2 인스턴스가 동시에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저장 방식이 서로 다르므로, 단순히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선택하면 낭패를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떤 저장 구조가 필요한지를 먼저 판단하신 후 접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의 조합이 달라집니다

AWS 스토리지는 하나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상황에 따라 여러 스토리지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이미지 파일이나 백업 데이터는 S3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는 EBS에, 공용으로 사용하는 파일은 EFS에 저장하는 식입니다. 즉, 용도에 맞게 스토리지를 잘게 나누어 사용하는 ‘스토리지 아키텍처 설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세 가지 서비스 모두 각자의 강점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조합하면 퍼포먼스와 비용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4. 성능의 차이, 놓치면 속 터집니다

스토리지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합니다. IOPS(Input/Output Per Second), 처리량(Throughput), 지연시간(Latency) 등인데요, 이 부분에서도 세 가지 서비스는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EBS는 SSD 기반으로 고성능 IOPS를 제공하며, DB나 고속 트랜잭션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반면 S3는 대용량 파일 전송에 적합하지만, 상대적으로 지연시간이 존재합니다. EFS는 병렬 접근이 가능하지만, 성능은 네트워크 속도에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많이 저장하고 싶다”보다는 “빠르게 접근하고 싶은가”, “동시 접근자가 많은가” 등을 고려하셔야 실전에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비용 구조, 이거 제대로 안 보면 요금 폭탄 맞습니다

AWS 스토리지는 사용한 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페이 퍼 유즈(Pay-per-Use)’ 방식이기 때문에, 잘못 구성하면 예상치 못한 과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3는 GB당 저장 요금 + 요청 수 + 데이터 전송 요금이 붙고, EBS는 할당한 용량에 따라 과금됩니다. EFS는 스토리지 용량과 성능 모드에 따라 과금되는데, 특히 Throughput 모드를 잘못 설정하면 과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기본은 EBS로 쓰다가 오래된 데이터는 S3로 아카이빙’하는 전략처럼, 요금 최적화 아키텍처를 고민하셔야 실전에서 승산이 있습니다.

6. 고가용성, 장애 대응 전략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고가용성과 장애 대응입니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도 세 가지 서비스는 대응 방식이 다릅니다. S3는 기본적으로 99.999999999%의 내구성을 보장하며, 자동으로 여러 가용 영역(AZ)에 복제됩니다. EBS는 가용 영역 단위로 제한되므로, EC2와 동일한 AZ에 있어야 하며, 장애 대응을 위해 스냅샷을 통한 백업이 필요합니다. EFS 역시 여러 AZ에 걸쳐 데이터 복제를 지원하지만, 성능 모드에 따라 복제 범위와 속도가 달라집니다.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 ‘어디까지 살아남을 수 있어야 하는가’를 따져 보시는 게 필요합니다.

7. 확장성과 유연성, S3가 진짜 강자입니다

자동 확장성과 유연성 측면에서는 S3가 단연 돋보입니다. 기본적으로 저장 용량의 제한이 없고, 수십억 개의 객체도 무리 없이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EBS는 볼륨 단위로 크기를 지정해야 하고, 확장 시에는 운영 중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EFS는 자동 확장을 지원하지만, 사용 패턴에 따라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가 빠르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비즈니스에서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이기 때문에, S3의 자동화 기능과 라이프사이클 정책은 큰 장점이 됩니다.

8. 데이터 접근 방식, 접근 주체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스토리지 선택 시, 누가 데이터를 접근하는지도 중요한 판단 요소입니다. S3는 HTTP 기반의 REST API를 통해 접근하므로 전 세계 어디에서나 접근이 가능합니다. EBS는 EC2 인스턴스에 직접 연결되어야 하므로, 특정 인스턴스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EFS는 NFS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여러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 협업용 파일 시스템으로 적합합니다. 즉, 개인이 혼자 쓰는 경우, 팀이 같이 쓰는 경우, 외부 고객이 접근하는 경우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셔야 데이터 흐름이 원활해집니다.

9. 보안 설정, 안 하면 큰일 납니다

AWS는 기본적으로 보안에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설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S3는 퍼블릭 액세스를 차단할 수 있는 정책을 제공하지만, 실수로 퍼블릭으로 설정하는 경우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BS는 EC2 인스턴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IAM 역할이나 네트워크 접근 제어가 핵심이고, EFS는 마운트 대상과의 통신이 중요합니다. 각 서비스마다 보안 설정 포인트가 다르기 때문에, 접근 제어 목록(ACL), 정책, 암호화 방식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백업 및 복구 전략까지 고려해야 진짜 설계입니다

스토리지는 저장만 잘하면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언제 문제가 생겨도 복구할 수 있는 백업 전략이 필수입니다. S3는 버전 관리, 수명 주기 정책, Glacier 아카이빙 등 다양한 백업 옵션을 제공합니다. EBS는 스냅샷을 통해 특정 시점으로의 복구가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리전에 복제할 수도 있습니다. EFS는 AWS Backup 서비스와 통합되어 주기적인 백업이 가능합니다. 각 스토리지에 맞는 백업 도구와 정책을 활용해, 만약의 상황에서도 비즈니스가 멈추지 않도록 구성하시는 것이 현명한 설계입니다.

결론: S3, EBS, EFS는 목적에 따라 조화롭게 써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스토리지는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도구입니다. 각각의 특성과 사용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고, 조화롭게 설계하는 것이 진정한 AWS 스토리지 전략입니다. 단일 솔루션에 올인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어떻게, 얼마나, 누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고 저장해야 하는지까지 고려하신다면, 진짜 클라우드 환경에서 유연하고 강력한 인프라를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정답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분의 서비스 구조에 맞춘 ‘최적화된 조합’이 핵심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S3는 웹 서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나요?
아닙니다. 웹 정적 파일뿐만 아니라 백업, 로그 저장, 빅데이터 처리용 스토리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합니다.

Q2. EBS는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는 EC2 인스턴스에 단독으로 연결되지만, 스냅샷을 통해 다른 인스턴스로 복제도 가능합니다.

Q3. EFS는 어떤 상황에서 가장 유용한가요?
여러 EC2 인스턴스가 동시에 동일한 파일에 접근해야 하는 상황, 예를 들어 협업 플랫폼이나 데이터 분석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Q4. 세 가지 스토리지를 함께 사용하는 게 복잡하지 않나요?
처음엔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목적에 맞게 잘 조합하면 성능과 비용을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는 강력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Q5. 데이터 암호화는 세 서비스 모두 지원하나요?
네, S3, EBS, EFS 모두 암호화를 지원합니다. AWS 관리형 키(KMS)를 활용해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