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절감이 곧 경쟁력!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전략 완벽 가이드

비용 절감이 곧 경쟁력!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전략 완벽 가이드

1. 필요 없는 리소스부터 제거하세요 – ‘잠자는 리소스’는 비용 도둑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마치 수도꼭지를 틀어놓은 채 잊어버린 것처럼,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계속 비용이 발생하는 리소스들이 있습니다. 흔히 ‘idle resource’라고 부르는 이 리소스들은 대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EC2 인스턴스, 과도한 EBS 볼륨, 더 이상 활용되지 않는 스냅샷, 테스트용으로 띄워놓은 가상 머신 등이죠. 클라우드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인프라 관리의 미래, GitOps로 시작하는 자동화 여정

인프라 관리의 미래, GitOps로 시작하는 자동화 여정

1. GitOps란 도대체 무엇일까요? 요즘 DevOps 이야기를 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GitOps’입니다. 이게 또 뭔가 싶으실 수도 있는데요, 사실 GitOps는 이름만 보면 좀 복잡해 보여도, 그 개념 자체는 꽤나 직관적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Git을 단일 진실의 원천(Single Source of Truth)으로 삼아 인프라를 선언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는 방법론’**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사람이 직접 서버에…

AWS 스토리지 3종 비교: S3, EBS, EFS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

AWS 스토리지 3종 비교: S3, EBS, EFS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

1. AWS 스토리지 서비스의 세 가지 축: S3, EBS, EFS를 이해해야 출발이 빠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느냐는 단순히 ‘용량’의 문제가 아닙니다. 성능, 접근 방식, 비용, 그리고 사용 목적까지 꼼꼼히 고려해야만 진짜 스마트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AWS는 여러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중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는 바로 S3(Simple Storage Service), EBS(Elastic Block Store), EFS(Elastic…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Cloudflare 핵심 기능과 최적화 팁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Cloudflare 핵심 기능과 최적화 팁

1. Cloudflare란 무엇인가요? 기본 개념부터 짚고 가볼까요? Cloudflare는 단순한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이 아닙니다. 이 서비스는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활용해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하는 동시에, 보안까지 책임지는 똑똑한 기술 플랫폼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접속한 사용자가 미국에 있는 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기존에는 태평양을 건너는 긴 여행을 해야 했지만, Cloudflare는 서울에 있는 엣지…

현업 시스템 관리자라면 꼭 알아야 할 I/O 병목 진단 기술

현업 시스템 관리자라면 꼭 알아야 할 I/O 병목 진단 기술

✅ I/O 병목이 뭐길래 이렇게 골치 아플까요?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한 번쯤은 “서버가 느려졌어요”, “응답 속도가 이상하게 지연돼요” 같은 문의를 받아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의심해봐야 할 것 중 하나가 바로 I/O 병목입니다. I/O(Input/Output) 병목 현상이란, 디스크나 네트워크, 혹은 기타 장치와의 입출력 과정에서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치 고속도로에서 한 차선만…

서버 관리자가 사랑하는 리눅스 LVM, 구조와 활용 사례 총정리

서버 관리자가 사랑하는 리눅스 LVM, 구조와 활용 사례 총정리

1. LVM이란 무엇인가요? 전통적인 파티션과의 차이점부터 알아볼게요 혹시 하드디스크를 나눌 때 고정된 크기의 파티션을 만들어야 해서 불편하셨던 적 있으신가요? 그런 문제를 말끔히 해결해주는 게 바로 LVM입니다. LVM(Logical Volume Manager)은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공간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인데요, 전통적인 파티션 방식에서는 디스크 공간을 나누고 나면 다시 조정하기가 어렵지만, LVM을 사용하면 논리적으로 디스크를 분할하고 조합할 수…

서버 감시 끝판왕은? Prometheus, Grafana, ELK 3대장 비교 분석

서버 감시 끝판왕은? Prometheus, Grafana, ELK 3대장 비교 분석

1. 인프라 모니터링,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요즘처럼 모든 게 클라우드 위에서 돌아가는 시대에는 인프라스트럭처가 잠깐이라도 멈추면, 사용자 경험은 물론이고 기업의 수익에도 큰 타격이 갑니다. 그래서 인프라를 ‘감시’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습니다. 단순히 서버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만 보는 게 아니라, 메모리는 잘 돌아가는지, 디스크 I/O는 정상인지, 네트워크 대역폭은 부족하지 않은지 등, 복잡하게 얽힌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클라우드 시대의 핵심 기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배포 흐름 완전 정복!

클라우드 시대의 핵심 기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배포 흐름 완전 정복!

1. 쿠버네티스, 왜 이렇게 주목받고 있을까요?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단순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가 아닙니다. 마치 대규모 공연에서 무대 뒤를 완벽하게 관리하는 무대 감독처럼,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들을 자동으로 배치하고, 확장하고, 관리해 주는 놀라운 시스템이지요. 요즘처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대세가 된 시대에, 수백 개,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손으로 일일이 관리할 수는 없잖아요? 바로 그럴 때 쿠버네티스가 진가를 발휘합니다.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도커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알아두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보안 팁

도커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알아두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보안 팁

1. 도커란 무엇인가요? 개발자의 필수 도구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도커(Docker)’라는 단어를 하루에도 몇 번씩 듣게 되는데요, 도커는 단순한 개발 도구가 아닙니다. 마치 하나의 가상 개발 공장이자 물류 시스템 같은 존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라는 단위로 묶어서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플랫폼인데요, 이 말은 즉슨 개발자가 자신의 노트북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그대로 서버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이해하면 리눅스가 보인다! 시스템 콜 구조와 동작 원리

이해하면 리눅스가 보인다! 시스템 콜 구조와 동작 원리

① 시스템 콜이란 무엇인가요? –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의 다리 리눅스를 처음 접하신 분들도 ‘시스템 콜(system call)’이라는 단어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 시스템 콜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고, 왜 그렇게 중요한 걸까요? 쉽게 말하면, 시스템 콜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창구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공간(user space)과 커널 공간(kernel…